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NPM
- javascript
-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 Linux
- Generics
- V8
- Let's Encrypt
- MSA
- 알고리즘
- docker
- ES6
- 자료구조
- stream
- node.js
- html
- nodeJS
- Functional Programming
- typescript
- nestjs
- Schema Registry
- https
- 함수형프로그래밍
- Express
- vscode
- 파이썬
- Certbot
- ChatGPT
- GIT
- MSK
- python
- Today
- Total
목록Backend (43)
JangBaGeum.gif

이슈 사항 로그 파일이 쌓이다가 설정 용량에 도달하게 되면 새로운 로그 파일을 만들어서 기록. 이렇게 되면 계속 로그파일이 쌓이게 됨. 오래된 로그는 보관 필요가 없기에 한 파일 내에서 로그가 쌓이고 만약 최대 용량에 도달하면 오래된 로그부터 삭제하게 log rotaion이 필요. 해결 방법 stdout_logfile_maxbytes 을 0으로 변경 - 모든 로그가 하나의 로그 파일에 보관된다. stdout_logfile_backups 을 0으로 변경 - 로그 파일이 너무 크면 별도의 파일로 이동하지 않고 오래된 로그를 삭제한다. stdout_logfile_maxbytes이 0이면 max size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기본값은 50MB로 설정 되어있다고 한다. 참고 Supervisord log fi..

이동 키 기능 w 단어 첫 글자 기준으로 다음으로 이동 W 공백 기준으로 다음(단어의 시작)으로 이동 b 단어 첫 글자 기준으로 이전으로 이동 B 공백 기준으로 이전으로 이동 e 단어 마지막 글자 기준으로 다음으로 이동 E 공백 기준으로 다음(단어의 끝)으로 이동 gg 문서 맨 앞으로 이동 G 문서 맨 아래로 이동 ^ 문장 맨 앞으로 이동 $ 문장 맨 뒤로 이동 찾기 /단어 - 문서에서 단어 찾기 n이나 N으로 다음/이전 찾기 * - 현재 단어를 포워드 방향으로 찾기 # - 현재 단어를 백워드 방향으로 찾기 삽입 키 기능 i 커서 위치에 Insert I 줄 맨 앞에서 Insert a 커서 다음에 Insert A 줄 맨 뒤에서 Insert o 커서 아래로 한 줄 띄우고 Insert O 커서 위로 한 줄 띄..

NPM (Node Package Manager)? npm (노드 패키지 매니저/Node Package Manager)은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를 위한 패키지 관리자이다.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환경 Node.js의 기본 패키지 관리자이다. 명령 줄 클라이언트(npm), 그리고 공개 패키지와 지불 방식의 개인 패키지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npm 레지스트리)로 이루어져 있다. 이 레지스트리는 클라이언트를 통해 접근되며 사용 가능한 패키지들은 npm 웹사이트를 통해 찾아보고 검색할 수 있다. 패키지 관리자와 레지스트리는 npm사에 의해 관리된다. npm을 이용한 패키지 설치 $ npm install install 대신 i를 약어로 사용이 가능 → $ npm i 에는 설치할 패키지 명을 적는다. 만약 특정한 ..

NestJS에서 TypeORM을 사용하다 보면 Active Record와 Data Mapper라는 말을 종종 들었고 이 둘을 비교하는 글도 볼 수 있었다. 이들은 쿼리 메서드의 정의 방법을 결정하는 패턴인 듯 보인다. 평소에 당연하다는 듯이 Data Mapper 방식을 사용했고 Active Record 패턴은 생소했기에 적어두려고 한다. TypeORM의 패턴 Node.js에서 많이 사용되는 ORM인 Sequelize는 Active Record Pattern이라고 한다. 그러나 같은 Node.js의 ORM인 TypeORM은 Active Record Pattern뿐만 아니라 Data Mapper 패턴을 지원한다고 한다. Data Mapper Pattern은 큰 서비스에서 유지 보수하며 개발하기 좋다는 장점이..

2022년 3월 TypeORM이 0.3 버전으로 새롭게 배포되면서 많은 것이 달라진 듯하다. 이전에 봤던 함수들이 deprecated 되었고 DB 설정 방식이나 repository 이용 방법 등이 달라졌다. 오랜만에 TypeORM을 사용하면서 기존과 많이 달라졌고 구글링 해도 예전 방식의 설명이 많아 혼란스러웠기에 어떤 점이 바뀌었는지 간단하게 적어보려고 한다. @EntityRepository EntityRepository는 repository 패턴을 이용해 Active Recorder에 없는 함수를 정의할 때 사용하던 Decorator이다. @EntityRepository() class UserRepository extends Repository {} 기존에는 위와 같이 사용되었지만 deprecated..

socket.io라는 것을 학습해보면서 polling이라는 단어를 접했다. 예전에 들어봤지만 정확한 개념을 알지 못하고 각각 어떤 차이가 있는지 몰랐기에 적어두려고 한다. 기존의 HTTP 프로토콜 HTTP규격은 애초에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의 단방향 통신을 위해 만들어진 방법이다. 이렇기에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어야만 서버가 응답을 할 수가 있고 반대로 서버가 먼저 보내는 요청은 클라이언트가 받을 수 없다. 이는 웹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콘텐츠에서 단점으로 작용한다.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일반적인 HTTP request에 약간의 트릭을 사용해 실시간 통신인 것처럼 작동하는 기술이 Polling이다. Polling Polling은 클라이언트 측에서 일정 시간을 두고 request를 계속해서 보내면..